본문 바로가기
■ 세계-역사/ -0~200; 동한

성한왕 김알지의 신라 도래....

by 사마르칸트 2016. 1. 13.

 

 

 

 

망국의 유민들이

 

진(秦, 기원전 221년 ~ 기원전 206년)의 노역을 피해서 이동했다면...

 

이는 투후 김일제와 관련이 없는 것 같다...

 

다만 중국이 혼란해 지면...

 

한반도로 건너오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점....

 

 

 

지배층이 되는 사람들의 언어가 달랐다는 것이다.

 

마한, 가야, 백제의 사람들이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말을 쓰고, 일본 사람으로 살듯이...

 

이들 또한 토착민의 나라에서 살아야 했을 것이다...

 

 

 

문무왕은 성한왕[김알지]의 15 대손이다...

 

 

 

 

 

 

 

 

 

 

 

 

성한왕은 투후의 7대손이다...

 

 

 

 

 

 

 

 

 

 

 

 

투후 김일제의 후손들이 중국에서 집성촌을 이루고 아직도 살고 있다.

 

 

 

 

 

 

 

 

 

 

 

 

 

김일제의 묘 바로 옆에

 

한무제의 능이 있다.

 

한무제가 아주 총애하던 신하였다.

 

 

김일제는 원래

 

흉노 휴도왕의 태자였는데....

 

한나라 곽거병의 침략으로

 

포로로 잡혔다...

 

그때 나이가 14세 였다고 한다.

 

이때 같이 잡혀간 사람들이 3-5만이었다고 한다.

 

 

 

 

포로로 잡혀와...

 

한나라에서 말키우는 마부로 일했다가...

 

한무제의 눈에 들어

 

황제의 말을 모는 마부로 전격 발탁되었는데....

 

한무제를 암살할려는

 

모반에서 한무제의 목숨을 구한다.

 

이후 한무제의 총애를 받는다...

 

투후는 한무제가 사망할때...유언으로

 

하사한 벼슬이다...

 

투후 벼슬은 김일제가 유일하다...

 

그래서 투후는 김일제의 고유명사가 되었다...

 

 

 

cf)충무공 이순신에서 충무공은 이순신장군의 고유명사가 아니다...

 

충무공은 아주 많았다...

 

 

 

김일제가 제천금인의 상을 만들고

 

기도를 올리자...

 

김씨 성을 하사했다는 기록....

 

 

 

 

김일제 사후

 

왕망이 왕위를 찬탈하고, 신(新, 8년~23년)나라를 건국 하던 때...

 

김일제 증손자 김당은

 

왕망과 이종사촌쯤 되겠다...

 

 

 

 

 

왕망의 건국후...전한의 패망후

 

김일제의 후손들은

 

산동으로 옮긴다...

 

원래 산동에 김씨의 식읍이 있었다...

 

 

 

 

 

 

 

 

-원래 한나라의 총애받던 신하였으므로...

 

신나라에 복속하지 않고..

 

지방으로 내려갔다는 것...

 

 

 

-그런데

 

왕망이 패망한 후...

 

왕망과 친척 사이였던 관계로...

 

아주 위험하게 되었다..

 

 

 

 

 

 

신나라때의 동전이었던 화천이

 

우리나라 남해안에 많이 발견된다.

 

 

 

 이는

 

이미 이 당시에

 

중국, 남해안, 일본과의 교역통로가 있었다는 것...

 

이들은 이 뱃길로

 

한반도로 건너왔을 가능성이 아주 크다...

 

 

 

 

 

 

 

 

 

문무왕...흥덕왕등의...

 

신라의 왕들 비문에는 자신들이

 

태조 성한왕의 자손이라고 하고 있다.

 

성한왕이 신라의 태조라는 것....

 

 

 

 

 

 

김씨 족보에는

 

문무왕의 15대조가

 

세한이라고 적혀있다..

 

세한이 곧 성한왕이다...

 

 

 

 

 그런데 성한왕은 곧 김알지라는 것...

 

성한왕은 왕명이고...

 

김알지는... 이름인지...

 

-알지....아르치....알타이 유목족의 말로 황금을 뜻한다...

 

 

-즉 김알지의 전설은

 

유목족 공통의 신화로써...

 

-성한왕이 자신의 조상이

 

곧 유목족의 후예라는 것을 은연중에 말하고 있는 것이다.

 

-김알지는 한 인간이 아니라...

 

유목족의 공통신화를 지닌 조상을 의미한다.

 

또한 성한왕 자신을 의미하기도 한다.

 

 

 

cf)김수로왕의 신화도 비슷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