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야생화...동물/☞☞☞과학

일반 상대성 이론....1

by 사마르칸트 2017. 3. 17.

 


---특수 상대성 이론의 요점

-우주에서 가장 빠른 것은 빛이다.

-빛과 같은 속도로 달리면...제3자에게는...시간이 멈춘듯이 보인다.

-즉 빛의 속도는 시간의 흐름과 같다.

-빛의 속도는 영구불변하며, 광속을 넘어서는 것은 없다.

 

 

-빛의 과학이다.

 

-등속운동과 가속운동의 과학...

 

 

-가속운동; 속도가 변하거나, 속도의 방향이 변한다.

 

-> 가속운동은

속도가 변하거나,[속도의 크기]

속도의 방향이 변한다.[공간]

 

 

 

->즉 가속운동이란...

속도의 변화로 나타낼수도 있고...또는

 

->가속운동이란...

등속운동하는 물체의 공간변화로도 말할수 있다.

 

 

 

 

 

 

---중요 가정

 

-빛은 질량이 없다.

-빛은 질량이 없으므로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빛의 속도는 일정하다.

-어떠한 환경에서도 빛은 등속운동을 한다.

-이것을 제3자가 관측하는 시점...

 

 

 

---중력

 

-중력은 가속도의 셰계이다.

-빛은 등속운동의 세계

 

-이 이론은

가속도의 세계에서 [중력장내에서]

등속운동하는 빛의 움직임에 대한 이론....

 

 

 

---중력과 관성력

-중력은 가속도의 세계이다.

-중력은 가속도의 힘을 받는 관성력으로 바꿀수 있다.

 

 

 

 

---우주선 모델...

 

-중력과 같은 크기의 가속도를 가진 우주선---> 무중력상태

 

 

 

-중력보다 큰 힘을 받는 우주선

-> 중력초과 과속상태

-> 이때 중력과 수직으로

등속운동을 하는 물체는

포물선을 그리면서 바닥으로 떨어진다.

 

 

 

--->원래 중력은 가속도이다.

즉 속도가 빨라져야 한다.

 

그런데 빛은 등속운동을 한다.

속도가 빨라지지 않는다.

 

--->속도가 빨라져야 하는데...

빛은 속도가 일정하므로...

공간이 변해야 한다.

 

->공간이 늘어나거나...공간이 굽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가속공간에서 등속운동을 하는 물질의 운동모습은

공간이 늘어나거나, 공간이 굽어진 듯이

제3자에게 보인다.

 

 

-일반 상대성 이론은

가속도의 중력장내에서

 

등속운동을 하는

빛의 움직임에 대한 설명이다.

 

 

--->질량을 가진 물체의 주위에는

중력장이 존재한다.

 

 중력은 물체의 중심으로 수직이다.

 

여기에 수평으로

등속운동을 하는 물체가 있다면

 

제3자가 보기에

공간이 변한 듯이 보인다.

 

-그래서 큰 물체의 주위로

휘어서 움직인다.

 

 

 

 

 

 

 

 

cf) 포물선을 그리며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체...

 

->무중력 상태에서 추가의 가속도가 더하는 경우

 

->중력과 수직으로 등속운동을 하는 물체는

포물선을 그리면 바닥에 닿는다.

 

 

 

--->중력장내에서는

 

수직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중력]이 항상 작용하므로

 

수평 등속운동을 하는 물체는

 

최단거리의 수평운동을 하더라도

 

곡선을 그리게 된다.

 

 

->수평으로 등속운동을 하여

 

앞으로 이동한다면...

 

중력의 영향으로 포물선을 그리는

 

운동을 하게 된다.

 

 

 

cf)블랙홀

 

->블랙홀은 중력이 아주,아주 큰 경우이다....

 

->수직으로 작용하는 중력이

 

수평으로 운동하는 힘보다

 

극도로 매우 크진다면

 

거의 수직으로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진다.

 

-빛은 블랙홀로 들어가는 듯이 보인다.

 

-빛이 들어가기만 하고...

 

반사가 없으니..

 

검은 색으로 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