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야생화...동물/***제비꽃

1.유색 제비꽃류..

by 사마르칸트 2017. 5. 9.


개인의 의견이므로..


참조만 하세요.



1]표준형 제비꽃


1.제비꽃[표준형]

1)꽃;자주빛 보라색

2)꽃안의 털[수염]이 있다.

3)꽃대;녹색

4)잎; 날개



2.호제비꽃.

-표준형과 비슷하나

-수염이 없다.

-꽃대가 갈색이다.



-------------------------------------

2]보라-좁은잎형


->아래 세종류는 형태상 큰 차이가 없다.

즉 유전자의 차이가 적다는 것.

확실한 분류기준이 거의 없다.

그러므로 최소한의 기준을 만들어 본다.



-보라빛 꽃색이면서,

물방울형태의 잎을 가진다.


-지역적에 따라, 지형에 따라 

아주 다양한 형태를 보이므로

기존의 기준으로는 구별이 불가능하다.


 


1.왜제비

1)꽃잎의 선명한 보라색 줄무늬


-이것이 가장 공통적이며, 유일한 기준이고,

다른 설명은 구분상에 도움이 안된다.

잎에 대한 설명은 오히려 더 헷갈린다.


2)흰바탕에 보라색무늬

 

-꽃주변이 아주 옅은색이다. 거의 백색 수준으로...

-꽃색이 연해야 한다는 것...

제비꽃은 모두 보라색의 줄무늬가 있는데,

꽃색이 진한 경우 보이지 않을 뿐...

-그러므로 왜제비의 유일한 분류기준은

보라색 줄무늬가 확실 육안으로 관찰 될 정도로

연해야 한다는 것.


 

3)잎모양은 표준형 잎모양이 아니어야 한다.

 

-잎모양은 3종류가 비슷하다.


 

 

 


2.털제비


-형태의 설명을 보면, 왜제비랑 구분이 안간다.


-다만 전신에 털이 많다.


-그리고 전형적인 왜제비의 얼굴이 아니어야 한다.


-털이 얼마나 많아야 하는지는 아직 기준이 없다.

충분히 많아야 한다는 의견뿐...




-꽃이 전형적인 왜제비인데...털이 있다면...

이것은 왜제비인가...털제비인가...


-참 고민스런 장면이다.


-형태가 비슷한 동물인 있는데...얼굴의 색깔로 구분 할것인가..

전신의 털이 많고 적음으로 구분할것인가...


-동물같은 경우...같은 종이라도

추운데 사는 개체는 털이 길것이고..

더운데 사는 개체는 짧을 것이다.


-그러므로 털의 양은 종의 구분에 큰 기준이 되기 힘들다.

색이 먼저 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모양은 왜제비인데...

털이 있다해도..왜제비라고 기준을 정한다.

->결론적으로 꽃색이 진하고...

전신에 털이 많다면 털제비라고 말할수 있다.




3.민둥제비꽃...

-보라꽃이고...물방울 형태의 잎을 가졌는데...

-전신의 털이 없어야 한다.


-꽃색이 왜제비와

다르게 꽃색이 진해야 한다.



--------------------------------------------

3]유색-넓은잎...


1.고깔제비

-연한 분홍색의 꽃

-말려있는 잎


-잎이 더 크면 둥근모양이다.

즉..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는 것...




2.뫼제비

-보라색꽃이고

-둥근형태의 잎이다.

-털이 없거나 적어야 한다.



3.둥근털제비

-뫼제비와 비슷한데,

-전신에 털이 있는 경우...



-둥근형태의 잎모양이라도 여러형태가 섞여 있다.


단 하나의 잎만 둥글어도 둥근잎이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대다수[80-90%]가 둥근잎이어야 둥근잎제비일까...


단 하나만 둥글다면...이 잎만 돌연변이를 일으킨 것이거나...

열성형질이 나타난 것일 것이다.

유전자적으로는 다수의 잎이 나타나는 경우만

이야기 해야 할것이다.










'■ 자연...야생화...동물 > ***제비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줄기형 제비꽃류...  (0) 2017.05.09
2.백색 제비꽃류...  (0) 2017.05.09
제비꽃의 분류에 대하여....  (0) 2017.05.09
알록잎 제비꽃...금원산  (0) 2017.05.07
고깔 제비꽃...금원산  (0) 2017.05.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