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역사/ -참고자료

《수경》(水經)1...

by 사마르칸트 2016. 2. 10.


http://ctext.org/shui-jing-zhu/zh



《수경주》(水經注)는 중국 남북조 시대에 저작된 지리서이다.


《수경》(水經)이란 책에 주석이 추가된 서적이다.


책의 저작 연대는 연창(延昌) 4년(515년)으로 추정된다.



《수경》[편집]
주석이 없는 원본 《수경》은 전한(前漢) 시대에 상흠(桑欽)이라는 사람이 지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수서 경적지》(隋書經籍志)에는 작자 미상이라고 하였고,


《구당서》와 《신당서》에는 진(晉)나라의 학자 곽박(郭璞)이 저자라고 하였다.


《통전》(通典)에는 지명의 명칭을 고증한 결과로 후한 순제 이후에 등장한 서적이라고 하였다.


청나라 말기 학자인 양수경(楊守敬)은 수경은 3국 시대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하였다.



《수경주》의 내용[편집]
《수경주》의 주요 내용은 고대 중국의 수로를 기술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지역의 특색을 기술하였다. 본문의 내용에 주석을 붙어있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수경주》는 북위 시대에 역도원에 의해 편집되었다.

《수경》의 원래 분량에서 40배 크기로 방대해 졌다.


10세기 무렵 책의 일부 내용이 유실 되었다.

그리고, 책의 내용도 경문(본문)과 주석이 뒤죽박죽이 되었다.


《수경주》를 복원하려고 명나라. 청나라의 유명한 학자들이 조사하여 조합한 결과, 여러 종류의 복원이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가장 상세한 고증본은 명나라의 주모위(朱謀瑋)가 1615년에 복원한 《수경주소》(水經注疏)이다.


《수경주소》를 토대로 하여 전조망과 대진 등이 문장을 추가한 《수경주》가 나왔다.






-패수는 동남으로 흐르다가...다시 동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반도의 강은 아닐 것이다.


-수경 주석서들은... 이런 부실한 책을 보강한 책들이지만...


-이 수경 원문의 의미는


당시의 중요한 강을 기술하였다라는 것이다...




<수경 14권>



-어양군을 거쳐가는 강-


濕餘水出上谷居庸闗東[1]

습여수(濕餘水)는 상곡군(上谷郡)

거용관(居庸闗) 동쪽에서 나온다.


東流過軍都縣南, 又東流過薊縣北.

동쪽으로 흘러 군도현(軍都縣) 남쪽을 지나,

또한 동쪽으로 흘러 계현(薊縣) 북쪽을 지난다.


又北屈, 東南至狐奴縣, 西[8]入于沽河.

또 북쪽으로 굽어 흐르다가 동남쪽으로

어양군 호노현(狐奴縣)에 이르러

서(남)쪽으로 고하(沽河)로 들어간다.


-------------------------------------------------------------------------
沽河從塞外來

고하(沽河)는 새(塞) 밖으로부터 온다


南過漁陽狐奴縣北, 西南與濕餘水合為潞河.

(고수는) 남쪽으로 흘러 어양군 호노현(狐奴縣) 북쪽을 지나서,

서남쪽으로 습여수(濕餘水)와 합하여진 후에

 로하(潞河)가 된다.


又東南至雍奴縣西為笥溝

(고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옹노현(雍奴縣) 서쪽에 이르러 사구(笥溝)가 된다.

 

又東南至泉州縣, 與清河合, 東入于海. 清河者, 派河尾也.

(고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천주현(泉州縣)에 이르러

청하(清河)와 합하여 지고 동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청하(清河)는 강 줄기의 꼬리(하류?)이다.

-------------------------------------------------------------------------


鮑丘水從塞外來, 南過漁陽縣東.

포구수(鮑丘水)는 새(塞) 밖으로부터 와서

남쪽으로 어양현 동쪽을 지난다.


又南過潞縣西

(포구수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어양군(漁陽郡) 로현(潞縣) 서쪽을 지난다.


又南至雍奴縣北, 屈東入于海

(포구수는) 또한 남쪽으로 흘러

어양군 옹노현(雍奴縣) 북쪽에 도달하여 굽이돌아

동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

濡水從塞外來, 東南過遼西令支縣北.

유수(濡水)는 새(塞) 밖으로부터 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요서군 령지현(令支縣) 북쪽을 지난다.


又東南過海陽縣, 西南入于海

(유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해양현(海陽縣)을 지나서 서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
大遼水出塞外衛白平山, 東南入塞, 過遼東襄平縣西.

대요수(大遼水)는 새(塞) 밖의 위(衛) 백평산(白平山)[1]에서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새(塞)로 들어간 후

요동군(遼東郡) 양평현(襄平縣) 서쪽을 지난다.


又東南過房縣西

(대요수는) 또한 동남쪽으로 흘러

방현(房縣) 서쪽을 지난다.


又東過安市縣西南, 入于海.

(대료수는) 또한 동쪽으로 흘러

안시현 서남쪽을 지나고 바다로 들어간다.



又玄菟髙句麗縣有遼山小遼水所出

또한 현도군 고구려현에

요산이 있는데 소요수가 나오는 곳이다


西南至遼隊縣入于大遼水也

(소요수는) 서남쪽으로 흘러 요대현(遼隊縣)에

 이르러 대료수(大遼水)로 들어간다.


-------------------------------------------------------------------------


浿水出樂浪鏤方縣, 東南過臨浿縣, 東入于海.

패수(浿水)는 낙랑군 루방현(鏤方縣)을 나와서

동남쪽으로 림패현(臨浿縣)을 지나 동쪽으로 海로 들어간다



->위의 수경전문을 보면 알겠지만...


황하에 대한 설명은 엄청길다...


황하 다음의 동북에 있는 강을 기술한 게


14권이다...




절반이 어양군을 거쳐가는 강이다...


설명도 상세하다...


나머지 요서군을 지나는 유수...


대요수, 서요수는 ..그냥 책보고 끼워넣은 듯...


설명도 아주 간략...




-그런데 뜬금없는 패수는 뭐여...


-큰강도 나오기 힘든 이 작은 책에...


설마 다른 강 다 빼고..


대동강이니...청천강을 쓸리도 없고...


-그리고 동쪽으로 흐른다는 패수...



-이 글만 보고도 패수가


반도에 있는 강이 아님을 알수 있다...



-역사는 암기 과목이 아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