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역사/ -참고자료

《수경》(水經)2... 수경주... 패수(浿水)...웃기는 상황..

by 사마르칸트 2016. 2. 10.

[수경]

浿水出樂浪鏤方縣, 東南過臨浿縣, 東入于海.


패수(浿水)는 낙랑군 루방현(鏤方縣)을 나와서

동남쪽으로 림패현(臨浿縣)을 지나

동쪽으로 海로 들어간다



허신(許慎)은 말하기를


패수(浿水)는 루방현을 나와 동쪽으로 海로 들어가는데 혹은 패수현을 나온다고 하였다.


십삼주지(十三州志)에서 말하기를


 패수현은 낙랑군 동북쪽에 있고

루방현은 낙랑군 동쪽에 있는데


모두 (패수현과 루방현) 그 현을 나와 [남쪽으로, 본문의 南을 而로 쓴 것도 있다] 루방현을 지난다고 하였다.


옛날 연나라 사람 위만이

패수 서쪽으로부터

조선에 이르렀는데 조선은 옛 기자의 나라이다.


 기자는 백성에게 올바름을 가르치고

밭갈기와 옷감짜기를 믿음과 두터움으로 하였으며

 8법으로 조약하여 금하는 것을 알게 하였으니

드디어 예절과 풍속을 이루었다.


전국시대에 위만이 이내 왕이 되어 왕험성에 도읍하였는데 방 수천리였다.


그 자손 우거에 이르러


한무제 원봉2년에

루선장군(樓船將軍) 양복(楊僕)과 좌장군(左將軍) 순체(荀彘)를 보내

우거(右渠)를 공격하였는데,

우거를 패수(浿水)에서 깨뜨려 드디어 우거를 멸하였다.


만약 패수가 동쪽으로 흘렀다면

동쪽으로 건너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 땅은 지금 고구려가 다스리고 있는데

내가 고구려 사신에게 찾아가 물으니 말하기를

고구려의 성은 패수의 북쪽에 있고

패수는 서쪽으로 흘러 옛 낙랑군 조선현을 지난다고 하였는데,

즉 낙랑군 치소이다.


내가 고구려 사신에게 물어보니 대답하기를


평양성은 패수의 북쪽에 있는데

 패수는 서쪽으로 흘러 옛 漢 무제가 설치한 낙랑군 치소인

 낙랑군 조선현을 지나고 서북쪽으로 흐른다.


그래서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패수는

서쪽으로 증지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한 것이다.[1]


또한 漢이 흥하자 조선이 너무 멀어

요동의 옛 塞를 복원하여 패수를 경계로 한 것이다.


이것을 고찰하여 보면 옛 일에 대한 어긋남이 있는데

모두 수경의 어긋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주]

許慎云..浿水出鏤方, 東入海, 一曰出浿水縣. 十三州志曰..浿水縣在樂浪東北, 鏤方縣在郡東, 盖出其縣南逕鏤方也昔燕人衞滿 自浿水西 至朝鮮. 朝鮮故箕子國也. 箕子教民以義, 田織信厚, 約以八法, 而下知禁, 遂成禮俗. 戰國時, 滿乃王之, 都王險城, 地方數千里. 至其孫右渠, 漢武帝元封二年, 遣 樓船將軍楊僕 左將軍荀彘 討 右渠, 破渠于浿水, 遂滅之. 若浿水東流, 無渡浿之理. 其地今髙句麗之國治. 余訪蕃使, 言城在浿水之陽, 其水西流, 逕故樂浪朝鮮縣即樂浪郡治, 漢武帝置, 而西北流. 故地理志曰..浿水西至增地縣入海, 又漢興以朝鮮為逺, 循遼東故塞, 至浿水為界. 考之今古于事差謬, 盖經誤證也.





한나라는 조선이 멀다고 했다...


패수가 멀다고 하지 않았다.


조선이 멀었다면... 패수도 멀었을 것이다.


이상하지만...


패수는 멀지 않았다는 것...





-다음은 한나라와 위만조선의 전쟁..-


-태자(太子)를 사례(謝禮)하기 위해 보낼 때에 말 5000필과 군량미도 함께 보냈다.

 1,0000여 명이 무기를 지니고 막 패수를 건너려 할 때에 ....



-좌장군은 패수 서쪽 군대를 깨뜨리고 나아가

왕험성 아래에 이르러 그 서북을 포위하였다.

 누선 또한 왕험성 남쪽에 주둔하였다.

 우거가 성을 굳게 지키므로

수 개월 동안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