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유 逍遙遊
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어 그 이름을 곤(鯤)이라고 하는데, 그 크기가 몇 천리나 되는지 알지를 못한다.
그것이 변화해서 새가 되니 그 이름을 붕(鵬)이라하며 이 붕의 등 넓이도 몇 천리나 되는지 알지를 못한다.
이 새가 한번 기운을 내어 날면 그 날개는 마치 하늘에 드리운 구름과 같다.
“붕새가 남쪽 바다로 옮겨갈 때에는 물결을 치는 것이 삼천리요,
회오리바람을 타고 구만리나 올라가 육 개월을 가서야 쉰다.”하였다.
아지랑이와 티끌은 생물들이 불어내는 입김이다.
하늘이 저렇게 푸른 것은 저 하늘의 본래의 빛인가?
너무 멀어서 끝이 없는 까닭인가?
저 위에서 이 지상을 굽어보아도 또한 이러할 뿐이다.
대체로 물이 고인 곳이 깊지 못하면 큰 배를 띄울 힘이 없다.
한 잔의 물을 뜰의 패인 곳에 부으면 하나의 지푸라기는 배 마냥 뜨지만
술잔을 띄우면 가라앉는다.
물은 얕고 배는 크기 때문이다.
바람이 쌓인 것이 두텁지 않으면 저 붕새의 큰 날개를 날리기에는 무력할 것이리라.
그러므로 구만리쯤이나 올라가야 바람이 그 밑에 있게 되고,
그런 뒤에야 바람을 타고 푸른 하늘을 날아가는데,
가로막는 것이 없어야 곧 남쪽으로 갈 수 있는 것이다.
매미와 메까치는 이를 비웃는다.
“우리는 훌쩍 솟아올라 느릅나무나 박달나무가 있는 곳까지 가려 해도 때로는 이르지 못하고
땅바닥에 떨어지고 마는데, 어째서 구만리나 올라가서 남쪽으로 가려 하는가?”
가까운 들판으로 가는 자는 세 끼니만 먹고 돌아와도 배가 여전하지만,
백리를 가는 사람은 전날 밤부터 양식을 준비해야 하고,
천리를 가는 자는 3개월 동안의 양식을 준비해야 하는 법이니,
이 두 마리 벌레들이 또한 무엇을 알겠는가,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단명하는 이는 장수하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
어째서 그런 줄 아는가?
아침나절에만 사는 버섯은 그믐과 초승을 알지 못하고,
쓰르라미는 봄과 가을을 알지 못하니 수명이 짧기 때문이다.
'■ 밝은 지혜 > ■밝은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이인여정장( 以刃與政章 ) (0) | 2012.08.01 |
---|---|
시시비비 할수 없는 것... (0) | 2012.08.01 |
커다란 지혜는 아주 한가롭지만, 자그마한 지식은 몹시 바쁘다. (0) | 2012.08.01 |
쓰일 데가 없으니 또 무슨 괴로움이 있겠는가... (0) | 2012.08.01 |
고대 로마의 베제티우스(Vegetius)는 말했다. (0) | 2012.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