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의 경험으로
볼락낚시에서 채비를 운용할때
아주 중요한 점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흔히들 처음 볼락낚시를 할때
가만히 들고 있거나,
고패질 한다고 마구 흔드는데
그래서는 입질이 드물수 밖에 없습니다.
볼락낚시에서 가장 중요한 몇가지는
1.아주 천천히 채비를 운용하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대를 천천히 휘저어도 대끝에 메달인 미끼는
상당히 빠르게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물고기는 너무 빠르게 움직이는 먹이는 포기하는 것 같습니다.
(키포인터는 볼락은 아주 빠르게 달리는 물고기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물론 아주 활성이 좋을 때는 빠른 움직임에도 반응을 보이지만
빠르게 움직이는 미끼에 쫒아오는 놈은 보통 어리거나, 중치급들입니다.
아주 큰놈들은 느리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놈을
쫒아다니지는 않는 것같습니다.
-> 빠른 움직임에 반응을 보이는 물고기는 농어, 갈치 정도 입니다.
->어느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느냐;
최대한 아주 느리게 입니다.
물론 팔은 많이 아플 것입니다.
2.미끼를 보여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볼락의 눈이 크다고 다 볼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아주 천천히 내립니다.
볼락의 입장에서 생각 해보면 쉽습니다.
휙 하고 내려가면 본 놈도 있을 거지만, 못 본 놈들이 더 많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주 천천히 내립니다.
물론 잡어들이 중간에서 덥칠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입질층을 파악한 다음 빠르게 잡어층을 통과하고
입질층 주변에서는 아주 천천히 움직여 주어야 합니다.
cf)채비를 움직이다가 잠시 멈추는 순간에 덥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3.고패질 하여 피워야합니다.
일단 내려가면
바닥을 확인하고
아주 천천히 올립니다.
볼락들은 커다란 몰나무 가지에 새처럼 앉아있습니다.
올라갈때 내려갈때,
바닥에 잠시 머물때 언제던지 입질이 올수 있습니다.
그리고
입질 포인터가 상층에서 이루어질수록
볼락이 점점 피어납니다.
이놈들은 욕심이 많아서, 아래에 앉아
항상 위에서 뭔가 먹을 게 내려오는지
다른 놈들이 무얼 먹었는지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위에서 다른 놈이 먹이를 먹는 것이 보이면
천천히 한놈씩 위로 올라옵니다.
그래서 볼락이 피는 것입니다.
대충 이렇게들 놀고 있습니다.
4.처음에 바닥에서 입질이 들어 온다고
채비를 빠르게 바닥으로 내리면 안됩니다.
바닥에는 그 미끼를 아주 근처에 있는 놈만 볼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당연히 입질이 적습니다.
입질층 근처 위에서 아주 천천히
놀리면서, 보여주면
여럿 놈들이 볼 것이고....
한놈이 먹이를 취하면
다른 놈들도 서서히 올라올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서로 경쟁하여 달려 들게 피워 올리는 것입니다.
5.만일 볼락이 피게 되면
채비가 내려가는 도중에 입질이 들어 옵니다.
입질이 상층에서 이루어 질수록
채비 운용에 시간이 적게 걸리고
수확이 많은 것입니다.
깊이 내려 가지 않아도
많은 볼락을 잡을 수 있는 것입니다.
6. 보통 볼락은 2마리가 쌍으로 다닙니다.
비슷한 크기의 볼락이 쌍으로 돌아 다니는 것을 많이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 쌍바늘 채비가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
7.바닥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볼락이 서식하는 곳은 보통 바닥이 돌이 많은 곳입니다.
그래서 밑걸림이 많습니다.
바닦에서 입질이 들어 온다고 바닥에만 집착하면
채비 손실이 많습니다.
바닥에 닿는 순간 더 이상 들어 가면 위험합니다.
아주 느리게 상승 시키십시요...
바닥에 고기가 숨어 있어더라도
미끼를 발견 했다면, 그리고 그것이 아주 느리게 움직인다면
볼락은 숨어 있는 곳에서 최소한 0.5-1미터정도는
순식간에 상승하여 미끼를 덥칩니다.
8.미끼의 크기입니다.
청개비라면 3-6cm 정도의 크기가 적당합니다.
미끼가 크다고 큰 놈이 덤비는게 아닙니다.
저는 3cm정도로 잘라서 사용합니다.
민물새우라면 3cm내외의 크기,
루어 웜이라면 2-3cm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볼락이 부담없이 먹을 수있는 크기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상의 이론은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가 생각한 원리입니다.
극히 아주 느린 미끼의 움직임,
바닥 확인, 그리고 아주 느린 상승과 하강
그런데 이것은 비단 볼락낚시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닙니다.
찌낚시, 맥낚시, 루어낚시 등등
모든 낚시에 기본원리로 적용시켜 보면 좋은
조과를 낼수 있을 것입니다.
초보 시절에
한 겨울에 볼락낚시를 갔었는데
저희는
볼락 입질이 너무 약아서 입질조차 받기 어려웠는데
옆에서 낚시 하던 현지분은
계속 해서 뽑아내어 쿨러를 채우더군요...
원리를 알면 낚시가 보일 것입니다.
초보자 분이시라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낚시이야기 > ■Fishing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락 루어 낚시에서 바닥 공략법 (0) | 2013.11.06 |
---|---|
볼락 쌍바늘 채비 (0) | 2013.11.05 |
민물 새우와 청지렁이의 인광 (0) | 2013.08.20 |
전 어가 대상 양식 어류 방류-적조전에 물고기 방류사업 (0) | 2013.08.07 |
갈치 낚시 시즌; 7-10월 (0) | 2013.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