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전공 분야가 아니라서
머리 아프지만,
상식선에서
여러분의 견해를 바탕으로 정리 해봅니다.
■정격출력
-장기적으로 으로 출력하여도, 기계가 안정적으로 작동할수 있는 범위의 전압, 전력
-앰프
-자동차로 치면 안전 속도
■최대출력
-일시적으로 견딜수 있는 최대한의 전압,전력
-앰프
-자동차로 치면, 최고속도...
--------------------------------------------------------------------------------
■정격입력
-장기적으로 입력하여도, 기계가 안정적으로 작동할수 있는 범위의 전압, 전력
-스피커
■최대입력
-일시적으로 견딜수 있는 최대한의 전압,전력
-스피커
-----------------------------------------------------------------------------------
■댐핑 팩터(damping factor)
-댐핑(Damping);제동,진폭의 감소
-앰프의 스피커 콘트롤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파워앰프
-스피커 진동을 제어 할수 있는 능력
-자동차로 치면 브레이크 및 핸들링
-너무 작으면 진동 억제 능력이 부족해 퍼지는 소리가 남
-너무 높으로 진동이 빨리 끝나서, 소리의 여운이 없어지고 경직되어짐.
-TR앰프; 100~200 사이 적당
-진공관앰프; 60이하
-댐핑팩터는 20 이상만 되면 재생음에 별 영향이 없다고 함.
---------------------------------------------------------------------
■댐핑팩터 = 입력 임피던스 ÷ 출력 임피던스
-댐핑팩터가 크질려면
-입력 임피가 크지고
-출력 임피가 작아져야 함
-댐핑팩터를 올리려면
굵고 짧은 케이블 사용,
직류저항이 낮은 네트워크 설계가 필요
■임피던스(Impedance)
-직류회로의 전기저항(R)에 해당하는 용어
-교류회로에서는 보다 많은 저항 요소가 있음
-Z로 표기
■입력 입피던스[ input impedance ]
-전기회로의 입력단에서 보았을 때의 임피던스
-어떤 전압을 가한 경우
-그 입력단에 발생한 전류로 나눈 값
■출력 임피던스
-앰프의 출력단에서 앰프쪽을 보았을 때 내부 저항
-출력 임피던스는 낮을수록 전류가 변해도,
전압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성질이 강해진다.
따라서 출력 단에 연결된 코드가 길어져도
주파수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실제 댐핑팩터
-스피커 임피던스 (4, 8, 16옴)
-앰프의 스펙상 댐핑팩터
-기타 저항; 스피커 케이블 + 스피커내 네트워크내 코일의 저항
앰프출력임피던스 = 스피커 임피던스 / 앰프댐핑팩터
실제 댐핑팩터 = 앰프출력임피던스 / 기타저항
cf)복잡하지만, 결론적으로
-앰프의 댐핑 팩터 100 과 1000은 10배 차이지만...
계산 결과
실제 댐핑팩터는 약 21과 26으로 겨우 약 5차이...
-즉, 댐핑 팩터를 10배 올리려면 엄청난 물량 투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나 실제 댐핑능력은 약간의 차이가 난다.
그리고 댐핑능력이 너무 크져도 음성향이 경직되어진다.
-그러므로 댐핑팩터 스펙은 오디오 회사의 상술일 가능성이 높다.
[참조]
http://board.wassada.com/iboard.asp?code=use&mode=view&num=9565
--------------------------------------------------------------
■전압[ voltage , 電壓 ]
-전하는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전위의 차이가 전압이다.
-전압이 클수록(전위차가 클수록)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갖고 있다.
■전류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양전하 이동의 방향이 전류의 방향이다.
-단위 시간에 어떤 면을 통하여 이동하는 전하의 총량을 그 면을 통하는 전류의 세기 또는 단지 전류라고 한다.
-실용 단위; 암페어[A]이다.
■저항[ resistance , 抵抗 , 抵抗 ]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
-단위; 옴(Ω)
- 1Ω = 1V의 전압을 가한 때, 1A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저항.
-----------------------------------------------------------------------
무엇이든 지나치면 좋을 게 없는 것 같습니다.
제 경험상
굳이 이렇게 공학적으로 접근하지 않더라도
중, 고역 잘 나오고
저음이 크게 풀어지지 않으면
구동력에는 크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불륨을 아주 크게 올리더라도
이러한 성향이 잘 유지된다면
이 시스템은 안정적인 것이라 생각됩니다.
'■ 음악과 오디오 이야기 > ■Music & a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JBL 43 시리즈...유닛 및 사양 (0) | 2013.11.21 |
---|---|
오디오에 대한 짧은 단상... (0) | 2013.11.19 |
와디아프로 DAC -피셔 250TX 리시버 - JBL XPL (0) | 2013.11.11 |
오디오리서치 audio research 프리앰프 정리 (0) | 2013.11.11 |
JBL C 시리즈 스피커 & 청음 (0) | 2013.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