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역사/ 3.근현대사

김경천 [金擎天·1888~1942] 장군

by 사마르칸트 2013. 12. 17.

 

-시베리아의 전설

-좌우 모두가 배척한 최고의 전쟁 영웅

-북한의 김성주가 사칭한 진짜 김일성장군

 

 

-1888년;함경남도 북청 출생

-본명은 광서

-부친;김정우, 일본유학후 대한제국 육군군기창장 근무

 

 

-16세; 정부유학생으로 일본 유학

-조선인 최초로 일본육사 정규과정 이수

-최우수졸업

-히로히토 일왕이 후견인

 

 

-1917년, 레닌 혁명

-적위파 정부 수립

-구러시아장교들이 백위파 정부 수립

-홍백전쟁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일본이 군대를 파견, 백군 도움

 

-1차 세계대전 발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 철군

-백위군 패배

-레닌, 동남시베리아에 극동공화국 만듬

 

 

 

-1918년;일본의 시베리아 침공, 1차 시베리아 전쟁

-자마이칼주,연해주에 백위파정부 유지

-일본군 철수로 자마이칼주 함락

-김규면, 조선독립군이 일본군과 대적

 

 

 

 

-1919년;31세

-일본군 기병중위로 근무중 3.1운동 발발

-지청천장군[1888-1957]과 중국으로 망명

 

-만주 안동현 대한독립청년단에 가입,활동

 

-서간도 유하현, 신흥무관학교 교관

 

-러시아 연해주로 이동

-연해주 수청지역, 창해청년단의 총사령관, 마적토벌

 

 

 

 

-1921년;백군, 일본의 침공, 2차 시베리아전쟁

 

-1921년;연해주 통합빨치산 부대 사령관

-백군과 전투

-수청고려의병대 사령관; 마적 토벌

 

-1921,10; 수청의병대, 러시아적군과 연합

-수청의 러시아백군 공격중 패함

-'이만시'로 후퇴

 

 

 

-1921년 11; 이만전투

-백군,일본군이 극동공화국의 이만시 공격

-한운용 중대가 백군 2개 사단에 맞서 3일간 사수

-의병대;48명, 백군;650여명 전사

 

-백군, 일본군이 극동공화국 수도 치타로 진격

-극동군은 수도 치타를 포기하고, 인스크로 후퇴

 

-모스크바 지원부대 도착, 인스크전투에서 극동군 승리

-백군,일본군, 블로차예프로 후퇴

 

 

 

-1922년,1; 러시아적군과 이만시 공격

-2백명으로 7백명이 수비하던 이만시 점령

 

-블로차예프전투; 극동군, 블로차예프의 백군을 공격, 승리

 

 

-1922년,3; 극동군과 연합, 약골리가의 백군 공격

-백군, 우수리스크로 후퇴

 

 

-1922년,7;포시에트 군사구역 조선빨치산 사령관 임명

 

-1922년,9; 시지마촌, 백군 패잔병과 전투,승리

 

-1922년,10; 고려혁명군 조직, 고려혁명군 동부사령관 임명

 

 

-1922년,12; 일본군 연해주 철수

-러시아 영내 무장 한인단체 무장해제

 

-1923년3;상해 국민대표회의 참석

-블라디보스토크로 귀환 , 무관학교 설립 추진

 

-1924년;한족군인 구락부 조직

 

-1926년; 민족당 준비회 조직

-이후 블라디보스톡의 극동사범대학 교수 근무

 

 

-1936년; 정치범 체포, 3년형,  2년반 복역

 

-1937년;한인,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1939년,2;석방 후  섭아후 카자흐공화국 집단농장에서 근무

 

-1939년 4; 친러시아 한인들에 의해  간첩죄로 체포, 8년형

-강제노동수용소에서 복역

 

-1941년; 독소전쟁 발발 후 , 시베리아로 이감

 

-1942년;소련 북동쪽 꼬미자치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으로 유배

-심장질환으로 사망

 

-1959년 2; 모스크바 군법 회의에서 사후 복권

 

-1998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2005년; 김경천의 일기장 나타남

 

-2012년;경천아일록 출간

 

 

 

 

 

 

 

cf) 여러 정보를 토대로 정리를 해 봤지만,

부족한 것이 많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