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曰
?不遠千里而來하시니
亦將有以利吾國乎잇가
孟子對曰
王은 何必曰利잇고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
맹자께서 양(위)나라 혜왕을 뵈시니 왕이 말하기를,
“노인께서 천리를 멀다고 하지 않고 오셨으니
또한 장차 우리나라를 이롭게 할 일이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맹자께서 대답해 말씀하시기를,
“왕께서는 하필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또한 인의(도덕)가 있을 따름입니다.
王曰何以利吾國고 하시면
大夫曰何以利吾家오 하며
士庶人曰何以利吾身고 하여
上下交征利면 而國이 危矣리이다
萬乘之國弑其君者는 必千乘之家요
千乘之國弑其君者는 必百乘之家니
萬取千焉하며 千取百焉이 不爲不多矣언마는
苟爲後義而先利면 不奪하여는 不?이니이다
왕께서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를 이롭게 할까’라고 말씀하시면
대부(귀족)들은 ‘어떻게 하면 내 집안을 이롭게 할까’라고 말하며
선비와 서민들은 ‘어떻게 하면 내 몸을 이롭게 할까’라고 말하여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이익을 취한다면 나라가 위태로울 것입니다.
만승(전차 만대)의 나라(천자의 나라)에서
그 임금을 시해하는 자는 반드시 천승(전차 천대)의 집안(공경)이요,
천승의 나라(제후국)에서 그 임금을 시해하는 자는
반드시 백승의 집안(제후의 대부)이니,
(신하가 군주에게서) 만승에 천승을 취하고
천승에 백승을 취함이 많지 않은 것이 아니지마는
진실로 정의를 뒤로 하고
이익을 먼저 한다면 빼앗지 않고는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未有仁而遺其親者也며
未有義而後其君者也니이다
王은 亦曰仁義而已矣시니
何必曰利잇고
인자하고서
그 어버이를 버리는 사람은 있지 않으며
정의로우면서
그 임금을 뒤로 하는 사람은 있지 않습니다.
왕께서는 또한 인의를 말씀하실 따름이니
어찌 반드시 이익을 말씀하십니까?”라고 하셨다.
요즘 보면...
경제를 이야기 하는 사람은 많은데...
국민의 행복을 말하는 사람은 더물다...
그래서 OECD에서 꼴등으로 행복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 밝은 지혜 > ■밝은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 사람을 죽이는 데 몽둥이와 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0) | 2014.03.07 |
---|---|
논어; 형벌이 공정하지 못하면 백성은 손발을 어찌 둬야 할 지 모르게 된다. (0) | 2014.02.26 |
논어; 늙어서는 이미 혈기가 쇠잔했으니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 (0) | 2014.02.26 |
논어 ; 군자는 자기가 한 말에 대해 언제나 구차함이 없어야 한다. (0) | 2014.02.26 |
논어; 백성이 풍족하면 임금이 어찌 부족하겠습니까? (0) | 2014.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