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역사/ 2.중세사67

정유재란[1597-1598] 2016. 3. 13.
임진왜란2-1593년,선조 26년 2016. 3. 13.
임진왜란1-1592년 2016. 3. 13.
탄금대 전투 [ 1592년 음력 4월 28일(양력 6월 7일)] -너무나 유명한 전투이다... 북상하는 왜군...고니시 유키나가 군을 맞아... 신립의 8천군이 분전하였지만... 패한 전투이다... -어떤 정신나간 인간이 당시 조선군이 8만이었다는 기록을 믿는 모양인데... 8만군이 있었다면 ... 달천평원에 군대가 가득 찼을 테고.. 2만명정도는 그냥 밟아버렸.. 2016. 3. 12.
제2차 진주성 전투 [1593년, 7월 20일~27일] -1차 전투.. 임진년 1592년 11월 8일(음력 10월 5일)부터 13일(그달 10일)까지 6일간에 전투에서.. 약 3만의 왜군을 물리침.. -현재의 성터인 내성이 있고, 1591년 임난직전에 증축한 외성.. -외성을 증축함으로써, 성주민들의 수용능력은 크졌지만, 방어하기 힘든 거성이 되었다. -진주성은 진주 남.. 2016. 3. 12.
《열하일기》(熱河日記)의 열하... 2016. 2. 29.
심하(深河), 사르후 [ 薩爾滸 살이허] 전투 ;1619년 http://lyuen.egloos.com/5685686 2016. 2. 11.
철령위(鐵嶺衛) 철령위(鐵嶺衛)는, 고려(高麗) 말기 중국 명(明)이 요동 지역에 설치한 군사적 행정기구이다. 원(元)을 북쪽으로 몰아내고 중국 대륙을 차지한 명은 원이 지배하던 고려의 철령 이북 지역에 대한 연고권을 주장하며 철령위 설치를 고려에 통보해 왔고, 고려는 이것을 자국 영토에 대한 침.. 2016. 1. 31.
고려의 삼별초군, 오키나와로 갔는가 2016. 1. 5.
단노우라 전투 ; 1185년 4월 25일 -위키 단노우라 전투(일본어: 壇ノ浦の戦い だんのうらのたたかい)는 헤이안 시대 말기 겐랴쿠(元暦) 2년/주에이(寿永) 4년 음력 3월 24일(1185년 4월 25일)에 나가토 국 아카마가세키(赤間関) 단노우라(壇ノ浦, 지금의 야마구치 현 시모노세키 시)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영화를 자랑.. 2016. 1. 5.
거란 지리지도 2015. 11. 12.
이성계의 조상과 쌍성총관부... 과연 쌍성총관부는 1356년 그 종말을 고하게 된다. 공민왕은 동왕 5년(1356) 5월에 기철 일당을 주멸하고 그 세력의 본거지인 요ㆍ심 지역과 쌍성총관부를 공격할 작정으로, 서북변병마사 인당(印?)에게 요양과 심양의 동녕부를 정벌하게 하였다. 인당은 군사를 이끌고 압록강 하류의 의주에.. 2015. 11. 2.
고려사절요 제29권 ; 이 성계 요동정벌... 이성계 장군의 1차 요동정벌입니다. 고려사절요 제29권 공민왕 4(恭愍王四) 경술 19년(1370), 대명 홍무 3년 ○ 봄 정월 갑오일에 혜성(彗星)이 동북방에 나타났다. ○ 우리 태조(이성계(李成桂))가 기병 5천 명과 보병 1만 명을 거느리고 동북면에서 황초령(黃草嶺 함남 함흥(咸興))을 넘어 6백.. 2015. 11. 2.
스코틀랜드 독립전쟁-브레이브 하트 2015. 7. 18.
[다큐] 나폴레옹, 유럽을 지배하다 2015. 7. 18.
진포대첩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380》 How could Koryo defeat a Wokou fleet of 500 warships? (1/4) 2015. 6. 26.
진포대첩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380》 How could Koryo defeat a Wokou fleet of 500 warships? (4/4) 2015. 6. 26.
진포대첩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380》 How could Koryo defeat a Wokou fleet of 500 warships? (3/4) 2015. 6. 26.
진포대첩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380》 How could Koryo defeat a Wokou fleet of 500 warships? (2/4) 2015. 6. 26.
임진왜란의 숨은 병기, 승자총통 / YTN 사이언스 2015. 6. 26.
병자호란을 돌아보다 1강 왜 병자호란을 기억해야 하는가 (3/3) 2015. 6. 26.
병자호란을 돌아보다 1강 왜 병자호란을 기억해야 하는가 (2/3) 2015. 6. 26.
병자호란을 돌아보다 1강 왜 병자호란을 기억해야 하는가 (1/3) 2015. 6. 26.
조선군 13척이 어떻게 왜군 133척을 이겼나 2015. 6. 26.
성경속에 감춰진비밀-이스라엘 2014. 8. 20.
중세 콘크라베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기사원문 http://well.hani.co.kr/507181?_fr=mb2 2014. 8. 6.
성녀? 히스테리 환자? 기상원문 http://well.hani.co.kr/media/432886 ->정신분열병 환자 이야기입니다.... 2014. 8. 6.
뉘우치는 여인들의 수녀원... 기사원문 http://well.hani.co.kr/media/458209 2014. 8. 6.
중세유럽(500-1500/1700)에 살았던 신심 깊은 여인들은 ... 기사원문 http://well.hani.co.kr/489928 2014. 8. 6.
영화 "역린"의 배경... 정조 1년 정유 (1777, 건륭42) 7월 28일(신묘) 궁궐내에 도둑이 들어 사방을 수색하게 하다 대내(大內)에 도둑이 들었다. 임금이 어느 날이나 파조(罷朝)하고 나면 밤중이 되도록 글을 보는 것이 상례이었는데, 이날 밤에도 존현각(尊賢閣)에 나아가 촛불을 켜고서 책을 펼쳐 놓았고, 곁에 내시.. 2014.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