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세계-역사/ 3.근현대사1411

신미양요 [辛未洋擾]-1871년(고종 8)-면제배갑(綿製背甲) 또는 면갑(綿甲) 신미양요 [辛未洋擾] 1871년(고종 8) 면제배갑(綿製背甲) 또는 면갑(綿甲) 2014. 3. 28.
조슈번- 아베- 이토- 현재 일본을 지배하고 있는자들 2 청일전쟁 당시 선전포고 없이 경복궁을 공격, 점령 한 오시마 요시마사 ; 아베 신조의 고조부 아베의 집안....죠슈번가의 정통... 3명의 총리를 배출한 일본의 정치명가, 또는 일본 우익의 뿌리 -1950년대 일본 자민당을 만듬 기시 노부스케 -현 아베 일본수상의 외조부 -40대에 만주국을 세운.. 2014. 3. 19.
조슈번- 아베- 이토- 현재 일본을 지배하고 있는자들 초슈 번(일본어: 長州藩 (ちょうしゅうはん) 조슈한[*]) 지금의 야마구치 현에 해당하는 스오노쿠니와 나가토노쿠니의 2개 구니를 지배했던 일본 에도 시대의 번이다. 번주는 토자마 다이묘인 모리 가문(毛利氏)으로, 가격(家格)은 국주격(?主格)에 해당되었다. 번청은 오랫동안 하기 성에 .. 2014. 3. 19.
세지마 류조(瀨島龍三) - 1911년 12월 9일 ~ 2007년 9월 4일 세지마 류조(일본어: ?島 龍三 (せじま りゅうぞう), 뇌도용삼, 1911년 12월 9일 ~ 2007년 9월 4일)는 일본의 군인, 기업가이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에 초급 장교로 참전하였으며, 후에 이토추 상사의 회장이 되었다. 생애 초기와 태평양 전쟁[편집] 도야마 현 출신으로 1932년 육군사관학교를 .. 2014. 3. 7.
세이난 전쟁(일본어: 西南?? (せいなんせんそう) 1877년(메이지 10년) 2 2월 24일, 제 1여단(노즈 시즈오 소장)과 제 2여단(미요시 시게오미 소장)은 잇달아 남하 중이었다. 구루메(久留米)에서 고노하(木葉)에서의 패전 정보를 들은 양 여단장은 남하를 서두르는 한편, 미이케(三池)가도에 일부 부대를 분견(分遣)하였다. 보병 제 14연대(노기 소좌)는, 이시누키(石.. 2014. 3. 7.
세이난 전쟁(일본어: 西南?? (せいなんせんそう) 1877년(메이지 10년) 세이난 전쟁(일본어: 西南?? (せいなんせんそう) 세이난 센소[*])은 1877년(메이지 10년)에 현재의 구마모토 현· 미야자키 현· 오이타 현· 가고시마 현에서 사이고 다카모리가 맹주로서 주도하여 일으킨 사무라이의 무력 반란이다. 사이고 다카모리가 하야 후 설립한 사학교가 중심이 되.. 2014. 3. 7.
청산리 전투(靑山里戰鬪) - 1920년 10월 청산리 전투(靑山里戰鬪) 또는 청산리 대첩(靑山里大捷)은 1920년 10월 김좌진, 나중소(羅仲昭), 서일, 이범석 등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 등 주축으로 활약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만주 지린 성 화룡현 .. 2014. 3. 7.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 - 1920년 6월 6일~6월 7일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는 1920년 6월 6일~6월 7일 만주에 주둔중이던 홍범도(洪範圖), 최진동(崔振東, 일명 최명록(崔明錄)), 안무 등이 이끄는 대한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 한경세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중국 지린 성(吉林省) .. 2014. 3. 6.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은 대한제국의 항일운동가이며 의병장, 정치사상가이다. 어려서 안응칠(安應七)이라는 아명으로 불렸으며, 천주교 세례명은 토마스이다. 본관은 순흥(順興), 고려조의 유학자 안향(安珦)의 26대손이다.[1][2] 우덕순, 조도선 등과 소수의 결사대.. 2014. 3. 6.
계초 방응모[方應謨] 방응모(方應謨, 1883년 9월 29일 ~ 1950년 8월?)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 법조인, 기업인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언론인이며 정치인이다. 동아일보사 정주지국장,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쳐 1933년 3월부터 1950년 7월까지 제9대 조선일보의 사주를 역임하였다. 그밖에 .. 2014. 3. 4.
만해 한용운(韓龍雲) 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음력 7월 12일) ~ 1944년 6월 29일(음력 5월 9일))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한국의 시인, 불교 승려, 독립 운동가이자 작가, 언론인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호는 만해(萬海 또는 卍海)이다. 항일 독립운동가이자 저항 시인이었으며 불교 언론 활동, 교육 활동.. 2014. 3. 4.
이광수(李光洙, 일본식 이름: 香山光郞 가야마 미쓰로) 5 5 문학 세계[편집]기독교 사상을 접하면서 이광수는 마태오 복음서를 읽고 세례자 요한의 행위를 그대로 모방하고 싶어했을 정도로 감동받았으며, 레프 톨스토이의 작품, 기독교 사상이 나타나 있는 예술론에 심취하여 이같은 기독교 정신을 자신의 작품 속에도 구현하려 하였다.[103] 이.. 2014. 3. 4.
이광수(李光洙, 일본식 이름: 香山光郞 가야마 미쓰로) 4 4 전향과 친일 행적[편집] 총독부 정책에 협력 문제[편집] 동료 문인들과 함께 (1937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이광수, 이선희, 모윤숙, 최정희, 김동환 순) 1938년 12월 14일 전향자 중심의 좌담회 '시국유지원탁회의'에 참석하여 강연을 한것을 시작으로 적극적인 친일 행위에 나섰다. 이어 .. 2014. 3. 4.
이광수(李光洙, 일본식 이름: 香山光郞 가야마 미쓰로) 3 3 계몽 운동과 문필 활동[편집]민족개조론 발표[편집] 도산 안창호. 안창호의 사상에 감화받은 그는 민족개조론과 실력양성론을 주장하였고, 후에는 흥사단과 수양동우회 등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22년 5월호, 개벽에 실린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민족개조론, 민족개량주의 문서를 참고.. 2014. 3. 4.
이광수(李光洙, 일본식 이름: 香山光郞 가야마 미쓰로) 2 -작성중 2 귀국과 망명[편집]자유 연애론, 무정 발표[편집] 소설 무정 초판본 (1913년)1917년 3월 와세다 대학교 철학과에 특대생으로 진급했으나 결핵을 앓아 고생했고, 격심한 과로 끝에 결핵과 폐질환이 심해졌다. 이때의 친구로는 안재홍, 송진우 등이 있었다. 그는 자유 연애론을 주장, 결혼할 자.. 2014. 3. 4.
이광수(李光洙, 일본식 이름: 香山光郞 가야마 미쓰로) 1 1 이광수(李光洙, 일본식 이름: 香山光郞 가야마 미쓰로[*],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작가, 시인, 문학평론가, 페미니즘 운동가, 언론인이었으며,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 2014. 3. 4.
일제 친일반민족행위자 708명 명단 일제 친일반민족행위자 708명 명단 ◇ 사회.문화.예술계 (집중심의 대상 16인) ▲고황경(일제 국방비지원단체인 '애국금채회'간사, 일제전쟁지원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김활란('애국금채회' 간사,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 지도위원) ▲모윤숙(친일단체인 '조선문인.. 2014. 3. 3.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이토 지코(伊東致昊) 4 4 일제의 협력 제의와 거절[편집] 윤치호 가족 사진(1930년), 앞줄 왼쪽에 앉은 이가 윤치호, 가운데가 어머니 이정무 여사, 오른쪽은 셋째 부인 백매려, 뒷줄 맨 왼쪽은 장남 윤영선 1931년 친일 단체인 토요회에 관여하게 되었다. 그러자 송진우는 그가 토요회에 관여하는 것에 대해서도 따.. 2014. 3. 3.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이토 지코(伊東致昊) 2 개화파, 계몽 활동[편집]귀국과 초기 개화파 시절[편집] 윤치호는 독립신문의 주필로 활동하다가 2대 사장에 취임했다. 1895년(고종 32년) 2월 그는 조선으로 귀국, 2월 13일 배편으로 입국하여 돌아왔다. 귀국 후 2월 15일 김홍집 내각에서 의정부 참의에 임명되었다가 외무부협판을 지냈다. .. 2014. 3. 3.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이토 지코(伊東致昊) 5 광복과 죽음[편집]광복 직전[편집] 만년의 윤치호 (1945년) 귀족원 (일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5년 2월 일본 제국의회의 칙선 귀족원 의원에 선임되었다. 2월 박춘금이 결성한 대화동맹(大和同盟) 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그해 4월 박춘금을 위원장으로 앉히면서 그는 대화동맹 이사장으.. 2014. 3. 3.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이토 지코(伊東致昊) 3 2 을사조약 체결 이후[편집] 관복 차림의 윤치호, 을사 조약 전후그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조선이 영세중립국을 선언하고 정치적 독립을 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아무도 그의 말을 듣지 않았고, 움직이지 않았다. 윤치호는 정치인들이 썩고 부패했다면 백성들이.. 2014. 3. 3.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이토 지코(伊東致昊) 1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이토 지코(伊東致昊), 1865년 양력 1월 23일(1864년 음력 12월 26일) ~ 1945년 양력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 독립운동가·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다. 일제.. 2014. 3. 3.
김활란(金活蘭, 아먀기 카쓰란(天城活蘭) - 변절자 김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아먀기 카쓰란(天城活蘭),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대한민국 여성운동가, 계몽운동가, 언론인, 교육인이다. 이화학당의 초등, 중등, 고등부를 거쳐 1918년 이화학당 대학부(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를 졸업하고 중앙기독교청년회(YMCA)에.. 2014. 3. 3.
몽양(夢陽) 여운형(呂運亨, 문화어: 려운형) - 한국의 쑨원 3 사후[편집] 1947년 8월 3일, 여운형 장례식. 추모인파는 60여만명이 몰려와서 애도의 물결을 이루었다. 그의 죽음으로 좌우합작위원회는 구심점을 잃게 된다. 제2차 미소공위는 추진하던 중 이후 중재자가 없어지자 극좌,극우 양극단 세력의 갈등이 표출하였고, 끝내 미국-소련의 입장만 확.. 2014. 3. 3.
몽양(夢陽) 여운형(呂運亨, 문화어: 려운형) - 한국의 쑨원 2 해방후 정치활동 해방 직전, 조선총독부는 좌파 와 민중 세력을 대변할 수 있는 여운형과 접촉하였다.[주 12][주 13] 1945년 8월 14일, 여운형은 당시 총독부 경무국장이었던 니시히로에게서 일본의 패전소식과 함께 15일 아침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엔도 류사쿠의 관저(서울 필동)로 와달라는 .. 2014. 3. 3.
몽양(夢陽) 여운형(呂運亨, 문화어: 려운형) - 한국의 쑨원1 경기도 양평 출신이며, 호는 몽양(夢陽)이다. 여운형(呂運亨, 문화어: 려운형,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 한국의 독립운동가·통일운동가·외교관·언론인·체육인이며 정치가이다. 1945년 8월에 건국준비위원회 위원장, 9월부터 1946년 2월까지 조선인민공화국의 부주석을 지내기도 .. 2014. 3. 3.
위당 정인보(鄭寅普) -조선의 얼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1]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다.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 감찰위원장이었으며, 1950년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본관은 동래, 자는 경업(經業), 호는 담원(薝園.. 2014. 3. 3.
노덕술(盧德述, 일본식 이름: 松浦鴻(마쓰우라 히로) - 고문귀 노덕술(盧德述, 일본식 이름: 松浦鴻(마쓰우라 히로), 1899년 6월 1일 ~ 1968년 4월 1일)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찰로,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이다. 일제 강점기 당시 고등계 형사 겸 악질 친일 경찰로 널리 알려졌으며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부터 친일파 경찰에서 수.. 2014. 3. 3.
하판락 - 일제 강점기의 고등계 경찰 - 고문귀 하판락 (河判洛, 일본식 이름:가와모토 마사오, 河本判洛, 河本正夫, 1912년 2월 15일 ~ 2003년 9월 11일) 은 일제 강점기의 고등계 경찰로, 본적은 경상남도 진주군 명석면 관지리이다. 하판락은 1912년 명석면협의회원과 명석면학교비 평의원을 지낸 지역유지인 하한훈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 2014. 3. 2.
중국 근대사-블로그 중국 근대사, 중일전쟁, 국공내전등의 자료가 좋은 블로그입니다. http://blog.naver.com/atena02/100118557337 2014. 1. 8.